콘텐츠 추천부터 사내 AI 챗봇까지…기업이 참고할 만한 AI 활용 사례 5

AI를 활용하고 싶지만 어떤 AI를 어떻게 적용할지 고민이었나요?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다른 기업의 사례를 참고하고, 우리 기업에 필요한 AI를 확인해 보세요!
Da Vinci's avatar
Feb 18, 2025
콘텐츠 추천부터 사내 AI 챗봇까지…기업이 참고할 만한 AI 활용 사례 5

지난번 소개해 드린 ‘국내 기업 AI 기술 활용 실태 조사’에 따르면, AI를 활용한다고 응답한 기업 중 서비스업 분야의 활용률이 53%로 가장 높았습니다. 서비스업 중에서도 금융(57.1%)과 IT 서비스(55.1%)의 활용률이 가장 높았다고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기업들이 각 분야에서 AI를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구체적 사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우리 기업에서 AI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이라면 아래 소개해 드리는 사례를 참고해 보세요.

1. AI가 자동으로 제목 추천해 주는 ‘당근’

출처: 뉴스1

중고 거래 앱 당근은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AI를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판매자는 상품을 더 쉽게 등록하고, 구매자는 원하는 상품을 더 편하게 찾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함인데요.

당근은 상품 등록 시, AI가 제목을 자동 추천해 주는 기능을 도입했어요. AI는 업로드된 이미지를 분석하고, 거래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확도가 높은 제목을 구체적으로 작성해 줘요.

기존에는 AI가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최대 3개까지 추천해 주었는데, 제목까지 자동으로 추천해 주니 사용자는 상품 등록이 더욱 수월해진 것이죠. 

그 외에도 당근은 이용자 개인에게 맞춤형 콘텐츠 제공, 스팸과 사기 등의 요소 필터링, 스마트폰 시세 조회 등 다양한 서비스에 AI를 적용해 이용자 편의를 더하고 있습니다.

2. 이미지 분석 AI로 차량 오염을 분류하는 ‘쏘카’

출처: 쏘카

카셰어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쏘카는 AI 이미지인식(Image Recognition) 기술을 활용해 차량 오염과 파손 등을 판단하는 AI 모델을 개발했어요. 

쏘카는 직접 소유한 차량 자산을 무인으로 고객에게 서비스하는 기업으로, 소유 차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습니다. 서비스 초기에는 사람이 직접 차량을 점검하는 것이 가능했지만, 소유 차량 수가 증가하면서 AI를 활용한 비용 효율화가 필요해졌어요.

쏘카의 딥러닝 모델은 고객이 업로드한 차량 이미지를 읽고, 종합적으로 차량 미관과 위생 상태, 파손 종류와 정도 등을 판단합니다. AI는 차량의 오염 정도가 세차가 필요한 정도라고 판단되면 자동으로 세차를 요청합니다. 또한 차량 사진에서 미신고된 파손의 정확한 위치와 종류를 AI가 자동으로 식별해 알려줍니다. 

3. 맞춤 추천부터 검색 최적화까지 자동화한 ‘컬리’

출처: 컬리

리테일 테크 기업 컬리는 상품 추천부터 검색 최적화까지 고객 여정의 전 과정에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커머스 쇼핑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검색할 때, 잘못된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해당 상품의 재고가 없으면 해당하는 상품이 없다는 안내 메시지가 뜹니다. 하지만 컬리는 AI가 사용자의 검색 의도를 분석해 주제에 맞는 상품을 추천해 줍니다. 또한 특정 주제와 관련된 상품을 모아 노출하는 컬렉션도 AI가 자동으로 관리해 줍니다.

컬리는 ‘데멍이’라는 이름의 자체 개발 AI를 활용해 고객 구매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데요. 이를 통해 상품 폐기율을 1% 미만으로 유지하고, 상품 주문과 배송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4. 사내 임직원의 지식 검색에 AI 챗봇 활용하는 ‘LG CNS’

출처: LG CNS

LG CNS는 내부 임직원이 필요한 지식과 데이터를 손쉽게 찾을 수 있는 업무용 AI 챗봇 서비스를 도입했어요.

기존에는 업무 도중 궁금한 점이 있을 때 담당자를 찾거나 사내 시스템을 일일이 검색해 확인해야 했는데요. 업무용 AI 챗봇을 도입한 뒤로 채팅 창에 자연어로 질문만 하면 원하는 정보를 수 초 내에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사내 AI 챗봇을 활용하면 사내 곳곳에 흩어진 다양한 지식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직원의 정보 검색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해 업무 효율성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5. AI 안면 인식 기반 서비스 출시한 ‘토스’

출처: 노컷뉴스

최근 비대면 금융거래가 활발해지면서 금융권에서 적극적으로 AI 안면 인식 기술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핀테크 기업 토스는 AI 안면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특정 공간에 출입할 때 등록된 안면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해 본인 확인을 하는 ‘얼굴 입장’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얼굴 입장 서비스는 기존에 진행하던 신분증 검사와 본인 확인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데요.

AI 안면 인식은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얼굴에서 눈, 코, 입 등의 위치와 모양 등 특징을 자동 추출하고 분석해 인물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AI 안면 인식 기술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사례로는 스마트폰 잠금 해제와 각종 보안 시스템을 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소개해 드린 것처럼 기업은 산업 특성과 필요에 따라 데이터 분석, 이미지 분석, 챗봇, 안면 인식 등 다양한 AI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기업 활동에 AI를 적용하려면 우리 기업의 특성과 고객 데이터 등을 바탕으로 적절한 AI 기술을 선택해야 하는데요. 

다빈치는 AI 도입을 포함해 RPA/자동화와 어드민/백오피스, 모바일 앱과 웹 사이트/웹 서비스 개발 등 IT 전 분야에 걸친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우리 기업에 꼭 필요한 AI 기술이 무엇인지, 어떤 솔루션을 적용해야 기업 활동에 효율성을 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면, 다빈치에 무료 상담을 받아 보세요.

베인앤드컴퍼니,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삼성 출신 엘리트로 구성된 개발 조직인 다빈치가 오랜 경험과 실력을 바탕으로 가장 신뢰할 만한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다빈치가 제공하는 AI 오케스트레이션 개념과 시장 전망 등이 궁금하다면 아래 게시물에서 확인해 보세요.


 

Share article

Codex - 다빈치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