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및 지자체는 AI를 어떻게 활용할까? 공공 부문 AI 활용 사례

공공기관은 노인 말벗부터 어린이 안전을 책임지는 다양한 분야에서 AI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AI 도입에 성공한 지자체 사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Da Vinci's avatar
Apr 15, 2025
정부 및 지자체는 AI를 어떻게 활용할까? 공공 부문 AI 활용 사례

제조업부터 서비스업까지 다양한 산업에서 생성형 AI를 도입해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등의 효과를 누리고 있는데요. 공공 부문의 AI 도입 현황은 어떨까요? 

오늘은 정부 및 공공 기관의 AI 도입 현황과 AI 활용 방법을 알아보고, AI 도입에 성공한 여러 가지 사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공공 부문 AI 도입 현황

출처: freepik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의 공공부문 AI 도입 현황 연구에 따르면 지난 10년(2013∼2022년)간 공공 부문 조달 계약 중 AI를 도입한 기관이 56.7%였다고 합니다. 전 세계를 생성형 AI 붐에 빠지게 한 챗GPT의 출시가 2022년 11월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2023년 이후 공공 부문의 AI 도입률은 크게 높아졌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지난 1월 행정안전부는 ‘2025년 주요 업무 추진 계획’에서 올해 상반기 안에 ‘공공부문 AI 대전환 종합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발표했어요. 앞으로 정부 차원에서 각 기관의 AI 활용을 본격적으로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죠. 현장에서 각종 반복적이고 소모적인 행정 업무에 시달리는 공무원들도 이런 방침을 환영하는 분위기라고 해요.
 

정부 및 공공 기관의 AI 활용 방법

출처: freepik

그렇다면 공공 부문에서는 AI를 어떻게 활용할지 다양한 방법을 알아볼까요?

✅ 민원 상담 등 행정 서비스 자동화

생성형 AI는 단순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하여 업무 효율성을 올리고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는 데 효과적인데요. 각종 문서 처리와 데이터 입력, 민원 접수 등의 업무를 AI로 대체하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고, 공무원은 그 시간에 더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AI 챗봇을 활용하면 시간과 장소 제약 없이 각종 민원을 접수하고 관련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기반 빠른 의사 결정

AI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는데요.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종 복지 서비스 지원 가구를 선별할 수 있고, 민원과 여러 가지 인프라 데이터를 분석해 정책 수립에 반영할 수도 있습니다.
 

✅ 인프라 관리 및 재난/범죄 예측

공공 부문에서 AI를 활용하면 도시, 교통, 환경, 재난 관련 인프라를 관리하고, 각종 재난과 범죄를 예측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요. 특정 시간대와 특정 지역의 범죄 패턴 분석으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CCTV로 도로 교통 상황을 분석해 교통 정체를 해소하거나 도로 안전을 확보할 수도 있죠.

공공 부문 AI 활용 성공 사례

정부와 지자체는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해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의 안전을 돌보고 있습니다. 공공 부문의 대표적인 AI 활용 사례를 소개해 드릴게요.

✅ AI가 노인의 말벗이 되어주는 경기도

출처: 전국매일신문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은 주 1회 정기적으로 노인에게 안부 전화를 걸어 상태를 확인하는 ‘AI 노인 말벗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요. AI 상담원이 집 전화나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어 일상적인 안부와 날씨, 건강 등을 묻는 등 정서적인 지원을 제공합니다. 만약 전화를 3회 이상 받지 않거나 통화 중 위기 징후가 감지되면 담당자가 직접 통화하도록 알려 줍니다.

AI 노인 말벗 서비스는 2023년 6월 시범 사업으로 시작했지만, 우수 사례에 선정될 정도로 그 효과를 인정받아 정식 사업으로 전환해 확대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기도 외의 여러 지자체도 AI 챗봇이나 콜봇을 활용해 민원 상담 등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 통계 분류에 AI 활용해 효율성 높이는 통계청

출처: 한국경제

통계청은 2020년부터 ‘통계 분류 텍스트 정보를 이용한 AI 기반 통계 분류 자동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인구 총조사나 전국 사업체 조사처럼 방대한 양의 자료를 처리할 때 해당 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해 자료 처리 정확성과 효율성을 개선했어요. 실제로 AI를 활용해 2020년 인구 총조사 산업 분류 자료를 분석했을 때 정확도가 기존 색인 DB 활용했을 때 69.2%에서 84.2%로 크게 높아지고 처리 속도도 최대 17배 향상됐다고 해요.

통계청은 그 외에도 초거대 AI를 활용한 통계 비서 서비스를 통해 일반인이 정확한 통계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도 원하는 통계 자료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 AI로 스쿨존 안전사고 예방하는 화성시

출처: 뉴스핌

경기도 화성시는 전국 최초로 ‘AI 스마트 스쿨존 보행 안전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 중입니다. 초등학교 앞 횡단보도에 AI CCTV와 안전 차단기를 설치하고, 교통정보센터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하고 원격으로 관리하는 건데요. AI CCTV가 보행자의 동선과 보행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안전차단기와 음성 시스템이 필요에 따라 보행자 통행을 제어해요.

화성시 내 32개 초등학교 횡단보도 앞에 설치한 이 시스템을 통해 어린이의 무단횡단과 돌발 행동을 감지하고 보행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맞벌이 학부모의 통학 시간 교통 안전 봉사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을 도입한 2023년에는 전년도 대비 무단횡단 횟수가 평균 97%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앞서 소개한 것처럼 정부 차원에서 공공 부문에 AI 도입을 장려하고 있는데요. 앞으로 여러 분야에서 AI 활용도가 높아지면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관리 등의 중요성도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공 부문에서 AI를 도입하려면 AI 기술은 물론 데이터 관리부터 보안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해야 합니다. AI 도입부터 RPA/자동화, 어드민/백오피스 등 전 분야 IT 제작 및 컨설팅을 제공하는 개발 조직 다빈치에 공공 부문 AI 도입 관련 궁금한 점을 물어 보세요. 민간은 물론, 공공 부문에 IT 프로덕트를 제공한 경험을 토대로 기관에 맞춤형 AI 도입 전략을 세워 드립니다.

Share article

Codex - 다빈치 블로그